본문 바로가기

건축공부

(3)
[History] 근대건축 #02. 르네상스의 쇠퇴, 근대건축의 태동 책을 읽다가 르네상스의 쇠퇴에 대한 견해를 알게 되어 메모해둔다. 18세기 경 역사학과 고고학의 발달로 과거에 대한 깊은 식별력이 생기고, 각 시대는 모두 동등한 비중을 가진다는, 전통에 대한 상대주의적 관점이 발생했다. ’고전적‘이라는 생각이 이렇게 못쓸것이 되어버렸다. John summerson은 이러란 진보에 대해 르네상스 규범의 [절대적 권위의 상실] 이라고 특징지우고 있다. 이러한 거대한 규범의 공백은 결국 아랍, 르네상스, 고딕, 이집트의 건축을 원형으로 하는 양식 형성만이 가능해 보이게 했다. 간만에 근대건축 책을 읽으며 알게된 사실, 르네상스의 쇠퇴, 근대건축 태동기의 사회적 변화, 모호하게만 알고있던 사실을 머리속에 때려박고 나니 기분이 좋아졌다.
[Books] Kenneth Frampton - Modern Architecture : A Critical History (현대건축 : 비판적 역사) Written by 윤 저자 : Kenneth Frampton (옮긴이 - 송미숙) 서명 : Modern Architecture : A Critical History (번역서 - 현대건축 : 비판적 역사) 출판사 : Thames & Hudson; Fourth edition (번역서 - 마티) 출판연도 : 1980 (번역서 - 2017) 사회적 정치적으로 읽는 현대 건축의 역사 현대 건축의 역사를 사회적·정치적 관계 속에서 살피는 『현대 건축: 비판적 역사(Modern Architecture: A Critical History)』은, 1980년 초판 발행된 이래 1985년, 1992년, 2007년에 걸쳐 네 차례 개정·증보되었으며, 지난 30여 년 동안 전 세계에서 가장 널리 읽히는 현대 건축사로 자리 잡..
[History] 건축사조 정리 Written by 윤 사조(思潮) 한 시대의 일반적인 사상의 흐름. - 표준국어대사전- 어떤 시대나 계층에 나타나는 공통적이고 일반적인 사상의 흐름 -고려대한국어대사전- 학교에서 배운 건축역사에 대한 기억과 최근 찾아본 몇 가지 건축사 관련 서적을 통해 정리한 건축 사조를 시대별로 정리해 보고자 한다. 사조를 정리하는 이유는 단지 까먹지 않기 위함이며 건축 사조에 대해 모든 것을 알고 있지 않기 때문에 중간중간 미흡한 부분이 있을 수 있다. 건축 역사와 사조에 대해 안다는 것은 건축설계를 하는 것과 어떤 관계가 있을까. 설계사무소에 다닌 지 1년 채 되지 않은 상태이지만 역사와 실무 사이에 어떤 상관관계가 있을지 의문이 드는 건 어쩔 수 없는 것 같다. 역사공부를 깊게 하지는 않았지만 흐름 자체를 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