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양건축사

(6)
[History] 근대건축 #03. 새로운 형태의 탐구와 장식, 근대과도기적 건축-1 ... 이제 건축에 대한 주된 견해의 근거는 모두, 우리들의 예술 창조에 유일한 출발점이 근대적 생활이라는 인식으로 바뀌지 않으면 안된다.O. wagner. 1985.르네상스의 쇠퇴로 새로운 양식이 부재한 시대에 ‘근대건축’이 무엇인가를 찾아가는 과정에 이르렀다.과거의 영광, 전통을 따라가는 것만이 방법이 아님을 일부 보자르 양식을 지지하던 사람들을 제외하고는 모두가 알고 있었을 것이다. 그럼에도 형태나 장식을 무시하며 건축을 논할 수는 없는 노릇이었을 것이며, 정직한 형태와 흰 매스만으로 근대건축을 전부 대변한다는 것 또한 어불성설이다.그들은 그러한 노력을 계속했다. 그러한 노력속에서 파리, 브뤼셀, 빈, 시카고 등 세계 각지에서 [새로움]에 대한 가치를 추켜 세우는 운동이 셀 수도 없이 많이 일어났다..
[History] 근대건축 #02. 르네상스의 쇠퇴, 근대건축의 태동 책을 읽다가 르네상스의 쇠퇴에 대한 견해를 알게 되어 메모해둔다. 18세기 경 역사학과 고고학의 발달로 과거에 대한 깊은 식별력이 생기고, 각 시대는 모두 동등한 비중을 가진다는, 전통에 대한 상대주의적 관점이 발생했다. ’고전적‘이라는 생각이 이렇게 못쓸것이 되어버렸다. John summerson은 이러란 진보에 대해 르네상스 규범의 [절대적 권위의 상실] 이라고 특징지우고 있다. 이러한 거대한 규범의 공백은 결국 아랍, 르네상스, 고딕, 이집트의 건축을 원형으로 하는 양식 형성만이 가능해 보이게 했다. 간만에 근대건축 책을 읽으며 알게된 사실, 르네상스의 쇠퇴, 근대건축 태동기의 사회적 변화, 모호하게만 알고있던 사실을 머리속에 때려박고 나니 기분이 좋아졌다.
[History] 이집트의 건축 #02. 정치적 통합과 문화적 발전 오랫만에 포스팅이다. 오늘은 지난번 포스팅에 이어서 다시 이집트 건축으로 가보려 한다. [History] 이집트의 건축 #01. 영원을 위한 미술 이집트 건축하면 생각나는건 당연히 피라미드지만 사실 그 이상은 잘 모르는 사람이 많을것이다. 오늘은 건축을 넘어 과거 이집트인들의 미술을 살펴보면서 그런 거대한 건축물이 지어진 배경 junuog.tistory.com 이집트 건축 #01에서는 이집트의 '건축' 뿐 아니라 '예술'의 관점에서 그 시대의 사람들이 어떤 사고를 하였는지에 대해 얘기했다. 이번 포스팅 부터는 시대별로 대표적인 건축물을 선정하여 알아보자. 먼저 이집트의 역사를 구분할 필요가 있겠다. 이번 글에서는 일단 각 시대를 정치적, 사회적, 문화적 변화와 중요사건들을 기반으로 구분해서 정리해보도록 ..
[History] 고대건축 - 메소포타미아 건축 #02 Written by 윤 고대 건축 1) 메소포타미아 건축 2) 이집트 건축 오래간만에 역사로 포스팅을 시작한다. 뭔가 판을 벌려놓고 수습이 안 되는 지경에 이르기 전에 갈무리 지을 스터디들을 조금씩 정리해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오늘은 다시금 고대 건축으로 간다. 건축역사에 대해서는 딱히 어떤 의견이나 견해를 쓸 일이 없어서 포스팅하는데도 크게 재미가 없는 것 같다. 그래도 여기저기서 얻을 수 있는 정보들을 정리해 두는 것만으로도 나 말고도 언젠가 이 글을 읽게 될 사람들 에게도 도움이 될 거라 본다. 지난번에 고대건축의 시작과 메소포타미아 건축을 시대별로 어떻게 구분하는지 정도로 마무리 했다면 이번 글에서는 메소포타미아 건축양식의 특성과 시대별 건축물을 몇 개 보고 다음으로 넘어가도록 하겠다. 1) ..
[History] 르네상스 시대의 건축 #1 Written by 윤 근세 건축 1) 르네상스 건축 2) 바로크 로코코 건축 Renaissance Architecture 15~16세기 말에 일어난 문화적 변혁 르네상스는 건축사조 중 하나로 인식하는게 아니라 역사적인 관점에서 이해를 하면 좋을 것 같다. 서양건축사 관련 서적에서도 르네상스를 다루고 있지만 그 이전에 인류 역사의 큰 흐름의 한 줄기이기 때문에 건축만 생각하면 건축사조의 전체 흐름을 이해하기 어려움이 있다. 먼저 르네상스는 문예 부흥, 부활 등으로 해석되고 있다. 르네상스가 일어난 시대적 배경은 기독교의 붕괴를 시작으로 신(God)이 아닌 인간 중심의 철학과 사고, 화약, 나침반 등 새로운 기술의 등장이다. 그 중 가장 큰 역사적 요인은 초기 기독교의 붕괴라 생각된다. 초기 기독교 붕괴(..
[History] 건축사조 정리 Written by 윤 사조(思潮) 한 시대의 일반적인 사상의 흐름. - 표준국어대사전- 어떤 시대나 계층에 나타나는 공통적이고 일반적인 사상의 흐름 -고려대한국어대사전- 학교에서 배운 건축역사에 대한 기억과 최근 찾아본 몇 가지 건축사 관련 서적을 통해 정리한 건축 사조를 시대별로 정리해 보고자 한다. 사조를 정리하는 이유는 단지 까먹지 않기 위함이며 건축 사조에 대해 모든 것을 알고 있지 않기 때문에 중간중간 미흡한 부분이 있을 수 있다. 건축 역사와 사조에 대해 안다는 것은 건축설계를 하는 것과 어떤 관계가 있을까. 설계사무소에 다닌 지 1년 채 되지 않은 상태이지만 역사와 실무 사이에 어떤 상관관계가 있을지 의문이 드는 건 어쩔 수 없는 것 같다. 역사공부를 깊게 하지는 않았지만 흐름 자체를 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