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Yoonseul'og

(76)
[Daily archi] #02. 국회 도서관 부산분관 Written by 윤 저번 주말에 부산 명지 신도시에 있는 국회 부산도서관에 다녀왔다. 최근 부산 대표도서관(2020)이 건립되고 2년 만에 새로 건립된 새로운 도서관이다. 몇 년 전인가 당선작 이미지는 한번 봤는데 공사 중인 것 같아 대충 넘겼다가 준공한 지 반년이 지나도록 까먹고 있었다. 아무튼 오늘은 국회 부산도서관 답사 포스팅을 하려 한다. 왜 국회 도서관이 갑자기 부산에 생기는지 궁금했다. 알아보니 과거 한국전쟁 당시 부산에 국회 도서실이 문을 열었다고 한다. 올해가 개관 70주년을 맞는 해이고 국회 도서관의 더 큰 도약을 위해 부산에 분관을 건립한다고.. 하는데 뭐 이런 사족을 갖다 붙이는지 이해가 잘 안 간다. 과거 현상 설계 당시 공모 지침(국회도서관 자료보존관)에 자세히 나와 있겠지만 ..
[Books] Kenneth Frampton - Modern Architecture : A Critical History (현대건축 : 비판적 역사) Written by 윤 저자 : Kenneth Frampton (옮긴이 - 송미숙) 서명 : Modern Architecture : A Critical History (번역서 - 현대건축 : 비판적 역사) 출판사 : Thames & Hudson; Fourth edition (번역서 - 마티) 출판연도 : 1980 (번역서 - 2017) 사회적 정치적으로 읽는 현대 건축의 역사 현대 건축의 역사를 사회적·정치적 관계 속에서 살피는 『현대 건축: 비판적 역사(Modern Architecture: A Critical History)』은, 1980년 초판 발행된 이래 1985년, 1992년, 2007년에 걸쳐 네 차례 개정·증보되었으며, 지난 30여 년 동안 전 세계에서 가장 널리 읽히는 현대 건축사로 자리 잡..
[History] 근대건축 #01. 신고전주의, 근대 시대의 서막 Written by 윤 신고전주의 [ 新古典主義,Néo-Classicisme] 로코코와 후기 바로크에 반발하고 고전 고대에 대한 새로운 관심과 함께 18세기 말부터 19세기 초에 걸쳐 프랑스를 중심으로 유럽 전역에 나타난 예술 양식. 고대적인 모티브를 많이 사용하고 고고학적 정확성을 중시하며 합리주의적 미학에 바탕을 둔다. 신고전주의 예술은 형식의 정연한 통일과 조화, 표현의 명확성, 형식과 내용의 균형을 중요하게 여기며, 특히 미술에서는 엄격하고 균형 잡힌 구도와 명확한 윤곽, 입체적인 형태의 완성 등이 우선시 된다. 고대에 대한 관심은 18세기 중반에 이루어진 폼페이와 헤라클레네움, 파에스툼 등의 고대건축의 발굴과 동방 여행에 의한 그리스 문화의 재발견 등이 계기가 되었으며, 프랑스혁명 전후 고대에 ..
[Architects] Rem koolhaas Written by 윤 Rem Koolhaas 1944~ 네덜란드 건축가 주요 작품 Kunsthal(1992), Seattle Central library(2005), CCTV Headquarters(2012), Taipei Performing arts center(2022) Rem Koolhaas는 내가 아는 바 세계 최고의 스타 건축가 중 한 명이다. 그의 작품이 준공되면 건축계는 떠들썩해지고 세계적인 건축상을 휩쓸며 작품 분석 및 관련 논문이 쏟아져 나온다. 그의 기본적인 약력을 살펴보고 앞으로 공부할 그의 작품을 소개해보도록 하겠다. Rem koolhaas는 현재 79세, 1944년생으로 네덜란드에서 태어났다. 그는 1963년 네덜란드 잡지사인 Haagse post의 저널리스트였다. 이후 1968..
[Buildings] UWE Engineering Building / UK Written by 윤 Architects : AHR architects Year : 2020 Location : Bristol, UK Area : 8,500 ㎡ 차세대 학생 엔지니링 교육을 지원하기 위해 설계된 이 건물은 공학 분야 간의 경계를 허물고, 더 큰 협업을 가능하게 하며, 더 넓은 사회 단면의 학생들을 끌어들여 엔지니어링을 보다 포괄적으로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3개 층에 8,500㎡에 달하는 이 건물은 교육 스튜디오, 시뮬레이션실, 실험실 및 다양한 프로그램를 수용하는 전문 워크샵을 갖추고 있다. 설계지침은 학생들의 협업을 장려하기 위해 전통적인 교육 이외의 '사회적 학습' 공간의 가치를 강조했다. 중요한 설계요건은 20개 이상의 서로 다른 연구실 및 작업장의 공간 및 서비스 요구 사항..
[Daily archi] #01. 부산 서면 Written by 윤 몇 년간 섬 생활(영도구)을 하다 보니 서면 시내로 나갈 일이 그리 많지 않았다. 2018~2021년, 약 4년간 대학교 연구실에 틀어박혀 살았기 때문에 남포동이니 서면이니 부산의 중심가가 어떻게 변화해 가는지 신경을 못쓰고 살았다. 올해 졸업을 하고 이제 시내를 다닐 일이 그래도 조금 많은데 돌아다니다 보니 옛날에는 보지 못했던 것들이 보이기 시작했다. 사실 극적인 변화가 있었던 것은 아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주변을 보는 시각이 달라졌음이다. 도시를 다니며 눈에 띄는 것들을 사진으로 남기는 습관을 기르기 위해 이런 게시물을 쓰기 시작한다. 서면의 중심가, 서면 1번가와 롯데 백화점 블록 사이의 사거리. 서면을 관통하는 중앙대로에서 약간 떨어져 있지만 많은 차량이 통행하고 유동..
[Books] Rem Koolhaas - 광기의 뉴욕 Written by 윤 저자 : Rem Koolhaas (김원갑 편저) 서명 : Delirious New York (광기의 뉴욕, 정신착란의 뉴욕) 출판사 : The Monacelli Press (세진사) 출판연도 : 초판 1978, new edition 1994 학교 다닐때 읽었던 기억에 남지 않지만 읽던 당시는 여러 충격을 받은 책. 코니 아일랜드를 시작으로 맨하탄에 지배적인 건축문화에 대해 때로는 회의적이지만 담담한 느낌으로 얘기하고 있었던 것 같다. 현대 건축문화의 일부에 사는 우리가 보는 뉴욕을 과거의 Rem koolhaas의 지적, 이론적인 접근을 통해 본다는 것 자체가 꽤나 흥미로운 부분일것이다. 옛날에 읽고 그 책을 후배들에게 물려주다 보니 이젠 더이상 구하기도 힘든 상황이 되었다. 그래서..
[Architects] Ludwig mies van der rohe #03 written by 윤 Ludwig Mies van der rohe 1886-1969 독일 출생 미국 건축가 주요 작품 Barcelona pavilion (1929), Villa Tugendhat (1930), Crown Hall(1956) 등 오늘은 1908년부터 1926년까지 지어진 미스의 초기 작품들을 소개해보고자 한다. 미스의 초기작을 스터디하는 이유는 첫 번째로 단순한 호기심이다. 세계적인 거장이라 불리는 건축가의 초기작에 대해 궁금하지 않을 건축가는 없을 거라 생각한다. 두 번째는 미스의 건축은 초기 작품과 어떠한 분기점 이후 작품이 굉장히 다른 모습을 보인다. 아직 공부가 부족해 어떤 시점에 어떤 이유로 그의 디자인이 변하게 되었는지 모르지만 이후 건축물과 차이점을 명확하게 알기 위해 초기작..